맨위로가기

김대유 (조선)

"오늘의AI위키"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.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
1. 본문

김대유(金大有, 1479년 ~ 1551년/1552년)는 조선 중기의 문신입니다. 본관은 김해, 자는 천우(天佑), 호는 삼족당(三足堂)입니다.
생애 및 활동:


  • 1479년 경상도 청도군에서 태어났습니다.
  • 1498년(연산군 4) 무오사화 때 아버지와 함께 호남으로 유배되었다가 1506년(중종 1)에 풀려났습니다.
  • 1507년 정시(庭試)에 장원하여 진사가 되었습니다.
  • 1518년 전생서 직장(典牲署直長)에 서용되었으나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갔습니다.
  • 1519년 현량과에 급제한 뒤 성균관 전적, 호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, 정언 등을 역임하였습니다.
  • 칠원 현감으로 재직 중 선정을 베풀었습니다.
  • 기묘사화(1519년)로 현량과가 혁파되자 관직을 삭탈당하고 청도에 내려가 소요당 박하담과 함께 동창(東倉)을 창설하여 구휼 사업에 힘썼습니다.
  • 1545년(인종 1) 현량과가 복과되면서 전적에 다시 서용되었으나, 병으로 인해 청도 운문산으로 돌아와 여생을 마쳤습니다.

학문 및 사상:

  • 김종직의 제자인 정여창의 문인으로, 조광조, 조식 등과 교류했습니다.
  • "기우(器宇)가 뛰어나고 견식(見識)이 명민하다"는 평가를 받았습니다.
  • 만족할 줄 아는 삶을 중요하게 여겨, 자신의 호를 '삼족당(三足堂)'이라고 지었습니다.

저서:

  • 『탁영 연보(濯纓年譜)』

사후:

  •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금곡산에 묘소가 있습니다.
  • 기묘명현으로 추앙받았으며, 청도 자계 서원과 선암사에 제향되었습니다.
  •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에는 김대유가 후학을 양성하며 만년을 보낸 삼족대가 있습니다.


김대유는 조선시대 춤을 즐겨 추었던 선비로도 알려져 있으며, 술자리가 아닌 곳에서도 홀로 춤을 추었다고 합니다.


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